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작년 12월부터 최근까지 국내외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인공지능, 바로 'ChatGP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챗 GPT는 AI 연구 개발 단체인 '오픈 AI'가 개발한 언어 모델 GPT3.5 기반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입니다.
예전에 GPT3가 나와서 자연어 처리 능력이 뛰어난 점이 주목되곤 했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 더욱 발전된 형태로
지난 12월 1일 테스트 버전을 일반 공개하였습니다.
강화 학습을 바탕으로 자연 언어 처리 모델에 최적화된 형태로, 보다 자연스럽고 문맥에 맞는 답변을 하기 위한
데이터 학습에도 강점을 보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학습한 지식을 찾아 전달하는 것이 아닌 창작 활동을 거쳐
인간과 유사하게 또는 더욱 정교한 내용을 구성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능력은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할 정도입니다.
그래서 챗GPT 공개 이후 미국 변호사 시험이나 의사 면허 시험에 좋은 성적은 아니지만 합격할 수준이라고 하여
많은 매체에서 놀랍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블로그 주제에 대한 문제 해결이나, 몸에 좋은 음식, 운동 방법 등 일상적인 정보에 대한 답변은 그동안 일일이 찾아 모았던
검색 기반의 정보들을 인공지능이 쉽고 빠르고, 체계적으로 나열해주는 것에 해당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이 발전한다는 것은 더 이상 하나하나 검색해서 정보를 취합하는 것이 인간이 하지 않아도 될 일이라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챗 GPT 하면 떠오르는 특징 중 하나는 바로 누정 100만명 사용자 도달 최단 기간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넷플릭스는 3.5년, 페이스북이 10개월, 인스타그램이 2.5개월인 것과 비교하면
챗 GPT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어 월 이용자 1억명을 돌파한 지 오래고, 무료 버전과 함께 월 $20달러의 유료 버전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기에 매출액 또한 매우 빠른 기간에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위에서 더 이상 사람이 일일이 검색할 필요 없다고 했을 때 생각난 기업이 있으신가요?
바로 구글입니다.
구글 또한 '바드'라는 챗봇을 개발 출시하여 람다 모델 기반 약 1370억개의 매개변수로 학습 인공지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존 빙 브라우저에 챗 GPT를 결합하여 '프로메테우스'라는 챗봇을 만들었습니다.
새로운 빙이라고 하여, 그동안 축정한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답변을 제공합니다.
추가 사항은 추후에 다시 한 번 살펴보며,
오늘은 챗GPT 활용 방법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검색 창에 영어로 CHATGPT를 검색합니다.
오픈AI 웹페이지 접속 후 ChatGPT를 사용하기 위한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동을 통해 쉽게 가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사람 여부와 이름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휴대폰 인증을 통해 전송된 코드 번호를 입력합니다. 가입 과정이 복잡하지는 않지만 꽤 보안이 철저한 편입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휴대폰 없이는 자신을 인증하고 증명할 방법이 없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로그인 후 안내 사항을 확인합니다.
테스트 버전을 일반 공개한 부분이어서 그런지 답변에 대해 오차가 있음을 사전 인지하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예제를 클릭하여 내용을 확인해보면, 꽤나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보를 나열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내용 구성이 어렵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쉽게 정리하기는 어려운 블로그 주제에 대해 질문해보았습니다.
관련하여 대표적인 블로그 주제에 대해 설명해줍니다.
영어로 질문을 해야 보다 정확하고 성실하게(?) 답변을 해주는 느낌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한국어 학습 데이터 10~12% 정도라고 하니, 한국어로 질문하여 받는 답변의 형태가 영어 기반보다 부족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파파고나 구글 번역을 통해 질문 내용을 정리하여 번역하고 챗GPT에 입력합니다.
그리고 받은 답변을 다시 번역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면 번역 과정에서 부자연스러운 문장이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 점을 감안하시거나,
영어로 질문과 답변을 활용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추가로 7월에 네이버에서 만든 서치GPT가 출시된다고 하는데, 챗GPT보다 한국어 학습 정도가 6,500배 정도 된다고 합니다. 즉, 한국인을 위한 챗GPT가 나올 예정이므로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227/118100451/1
“챗GPT 6500배 한국어 학습” 네이버 AI 나온다
네이버가 오픈AI의 챗봇 서비스 ‘챗(Chat)GPT’ 대항마로 준비하고 있는 차세대 인공지능(AI) 검색 프로젝트 ‘서치(Search)GPT’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네이버가 2…
www.donga.com
특정 주제에 대한 창작 활동도 가능하지만 일상 대화 및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채팅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직접 해본 결과 자신은 인공지능 챗봇이어서 잘 모르겠다라는 내용이 주로 구성된 내용이다보니
사람과 대화한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습니다.
궁금한 점을 여러 개 물어보면서 챗 GPT를 어떻게 사용할까 고민하는 것이 중요할 듯 합니다.
객관적인 사실 및 많이 알려지지 않은 내용에 대해 검색하는 용도도 괜찮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학습하였기 때문에 특정 정보를 분류하여 가져오는 방법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러나 챗GPT의 오류도 있습니다. 2021년까지의 데이터를 학습하다보니 2022년 이후 진행된 사건에 대한 정보가 없어 답변에 오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잘 모르는 사실에 대해 모른다고 말하지 않고, 잘못된 정보를 조합하여 사실인양 설명하는 부분도 발견을 하였기에 100% 신뢰할 수는 없습니다.
처음 챗GPT를 사용하시는 입장에서는 무료 버전으로 사용하시는 데 문제가 없가 없지만, 속도나 정확도에 따른 효과를 보시기 위해서는 업그레이드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 달에 $20이면 고성능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값 치곤 비싼 편은 아니니까요.
이상 챗GPT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윤리]모럴 머신(Moral Machine) (0) | 2023.03.27 |
---|---|
[인공지능의 발전]챗GPT 활용한 마이크로소프트 빙(Bing) 브라우저 (0) | 2023.03.17 |
[원리실습]코드닷오알지(code.org) (0) | 2022.05.23 |
[인공지능]알고리즘 이해하기 (0) | 2022.04.10 |
[인공지능 실습]NVIDIA AI Playground_GAUGAN2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