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챗GPT에 대해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최근 챗GPT에 대해 관심이 뜨거운데, 3월 14일 GPT-4를 출시하면서 작년 12월 공개한 챗GPT에 이어 챗GPT-Plus로
더욱 발전된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챗GPT의 등장으로 많은 주모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이 챗GPT를 활용하여 다시금 일어서려고 하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빙(Bing)'입니다.
많은 분들이 브라우저를 크롬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엣지 브라우저는 특정 용도로만 사용되었는데요.
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와 함께 챗GPT를 기존 빙 브라우저와 결합하여 '새 빙(Bing)'을 출시하였습니다.
엣지 브라우저에서 마이크로소프트 빙이라고 검색하시면 상단 메뉴에 채팅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채팅 모드는 새 Bing을 액세스 할 수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따라서 웹용 AI 기반 새 빙을 사용하려
면 대기 목록에 등록해야 합니다.
어느 곳에서는 2주를 기다려야 한다고 하는데 저 같은 경우는 3일 정도 기다리니
안내 메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고 하여 접속할 수 있었습니다.
새 빙에 접속하여 검색창에 동일하게 질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검색할 때는 브라우저 검색을 해도 바로 연결됩니다.
검색 내용 우측에 파란색 아이콘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새 빙 - 채팅 AI(프로메테우스)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릭하여 보면 위쪽에 대화 스타일을 정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인공지능이 너무 창작하거나, 너무 팩트만 이야기하면 성능이 한정될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조절할 수 있게 한 듯 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보면
지난 Open AI의 챗GPT에서의 결과처럼 2021년 기준으로 말하는 것이 아닌
현재 대통령을 정확히 알려주며, 취임일과 임기까지 관련 정보를 알려줍니다.
그리고 또 다른 특징은 바로 아래쪽에 자세한 정보로 출처까지 제공함으로써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올려준다는 것입니다.
추가로 정책이나, 전적, 다음 대선 등 연계 가능한 질문을 추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게끔 알려줍니다.
두 번째 질문으로 전국 노래자랑 MC에 대한 질문을 동일하게 해보았더니,
김신영과 이호섭이라고 나왔는데 위키백과에서 보니,
이호섭과 김수민이 남녀 공동 MC를 보았고 그 이후에 김신영이 단독 여성 MC가 되었더라구요
부분적으로 오류가 있지만, 챗GPT의 말도 안되는 답변보다는 정확성이 높았습니다.
이렇게 마이크로소프트의 새 빙이 성능이 더 좋다고 느껴지는 것은
챗GPT를 가져와 브라우저 검색을 통해 출력을 하기 때문입니다.
빠른 데이터 처리 능력과 함께 인공지능의 창조 능력 및 커뮤니케이션을 상호작용 능력을 결합하여
검색은 객관적으로 하되, 전달은 인간친화적인 형태로 하는 방식인 것입니다.
아무리 검색해도 내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힘들었던 인터넷 바다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고 친절하게 정리해서 알려주는 인공지능(AI), 이것이 인공지능 발전의 가장 큰 목표가
아닐까 합니다.
다음에는 GPT-4 기반 챗GPT-Plus에 대해서도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관련 내용 정리 (0) | 2023.04.02 |
---|---|
[인공지능 윤리]모럴 머신(Moral Machine) (0) | 2023.03.27 |
인공지능의 발전 'ChatGPT' (2) | 2023.03.15 |
[원리실습]코드닷오알지(code.org) (0) | 2022.05.23 |
[인공지능]알고리즘 이해하기 (0) | 2022.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