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인공지능 인식]How nomal am i?

Mi-Flat 2023. 3. 20. 21:37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얼마나 '정상'에 가까운 지 알려주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소개하려 합니다.

 

정상이란 기준은 상당히 보편적이고 평균적인 값을 의미하곤 하는데요.

 

인공지능이 여러분의 정상도를 평가한다면, 그 값을 믿으실 건가요? 안 믿으실 건가요?

 

How nomal am i? 라는 이 프로그램은 EU의 Sherpa 연구 프로젝트의 일부라고 합니다.

 

웹 캠을 통해 인공지능이 자신의 얼굴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얼굴 인식을 통해 매력도,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기대수명, 감정 등을 읽는다고 합니다.

 

하나같이 평균이하거나 내가 기대한 것보다 못미치면 기분이 썩 좋지 않을 주제들만 있는 듯 합니다.

 

시작하기 전 약관 동의를 클릭하고 시작합니다.......

라고는 하지만 여러분 중에는 이게 뭐야 하고 그냥 지나치는 분들도 꽤 많으실 겁니다. 

 

또 클릭하라고 위에 설명이 있음에도 안하는 사람들도 있죠.

 

메인 화면으로 접속하면 안면 인식을 위한 카메라가 작동합니다.

 

따라서 웹 캠이 없는 데스크탑 등에서는 작동이 안되며, 모바일 앱에서는 카메라 연동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 첫 번째 노멀 기준이 나옵니다. 약관을 읽었냐는 항목에서 나와 다른 사람들의 평균이 나옵니다.

 

무려 96% 이상이 안읽고 들어왔으며, 그것이 정상? 인 기준이 됩니다. 

 

다음 아래에는 현재 자신의 나이를 클릭합니다.

 

기대수명을 예측하기 위해 현재 나이를 물어보는데요.

 

위에서 나이를 물었음에도 다른사람들은 76%만이 대답에 응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뭐 그래도 정상 범주에 해당하는 듯 합니다.

 

바로 다음 아름다움 즉, 매력도 측정이 시작됩니다. 

 

아름다움의 평균은 5.5 ~7.5 정도라고 하네요 평균은 하나봅니다.

 

최소 나이를 예측하기도 하는데요 정말인지는 모르나 최대한 적게 나오는 것이 기분은 좋지 않을까 싶네요.

 

성별을 예측하는데, 생각보다 주변에서 했을 때 성별을 잘 못맞추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기분이 썩 좋아보이지는 않았습니다..

 

다음은 체질량 지수(BMI)를 측정합니다. 체질량 지수가 높다면 비만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얼굴만 보고 체질량 지수를 맞춘다는 것 다소 위험한 발상이 아닐까 싶지만, 상당히 비슷합니다...

 

다음 기대 수명인데 이것은 말 그대로 기대 수명이다보니 성별과 현재 나이 맞춰 대부분 비슷하게 나오는 것 같습니다.

 

너무 적게 예측하면 기분이 많이 나쁠 수 있으니까요

 

다음은 인공지능 인식 프로그램 답게 얼굴을 인식 디지털 프린터 값이 나오기도 합니다.

 

당신의 표정이 어떤 감정을 띄고 있는지 예측하는데 앞에서 그리 좋은 결과를 못 받았다면

 

대부분 sad 일 듯 싶네요,,

 

이 부분은 데스크탑과 모바일이 조금 다른데요. 데스크탑은 보라색 마우스 커서가 20초 동안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보여줍니다. 여기 저기를 클릭해본다던지 정신 산만하게 이동했을 거라 예상합니다.

 

이 데이터는 외부로 유출되지는 않으며, 학습 데이터로만 사용될 수 있도록 동의를 구합니다.

 

전체적으로 정상도? 같은 확률을 보여주며 재미있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종료됩니다.

 

정상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사실 객관적인 사실이나 범주를 정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또한 정상이라고 학습 데이터가 편향되어 있다면 수많은 인종차별, 성차별 등의 윤리적 이슈가 발생할 수 있죠.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는 배경에는 문제를 만들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과도기적인 과정을 거치고 있다라고 보시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무도 당신을 비정상이라고 하지 못하니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