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데이터 시각화]네이버 '데이터랩'

Mi-Flat 2023. 4. 13. 11:22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오늘은 데이터 분석 중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 시각화란 수많은 데이터 사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내기 위해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흔히 막대그래프, 선그래프, 원 그래프 등 면적이나 높낮이를 통해 상호 비교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엑셀이나 파워포인트 등 데이터를 입력하여 자동으로 시각화 자료로 만들어주는 도구가 많은데요.

 

도표라는 수단을 활용하여 한 눈에 보이지 않았던 데이터의 상관 관계 또는 특이한 점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데이터를 표현하는 시각화 방법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데이터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여러 시각화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때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데이터의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시각화 된 데이터를 보면 직관적으로, 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사이트를 통해 이렇게 하면 어떨까라는 가설과 예측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그리고 그 때 중요한 것이 경향성입니다. 편향성과는 다르게 경향성은 어떤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쏠리는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었던 경향성을 파악하여 

 

다음 상황까지 예측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쉽게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의미와 활용성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 네이버의 데이터랩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랩은 네이버 검색창에 입력된 수많은 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로 하여 언제, 어떤 키워드로 검색이 진행되었는지를

 

데이터 시각화로 보여줍니다.

 

데이터랩에는 여러 통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중 '검색어 트렌드'를 통해 특정 키워드의 '경향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주제어를 입력합니다. 주제어는 상위 주제어와 하위 주제어로 나뉘는데 해시태그와 같은 개념으로 이런 키워드들은 상위 개념으로 묶어서 검색하는 형태가 됩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이 키워드로 검색을 한 것이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입니다.

 

아래 부분에서는 기간과 범위, 성별, 연령 등 파라미터를 지정하여 유의미한 결과에 특징을 알아볼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지난 한 해동안 치킨이란 단어를 키워드로 입력한 데이터를 검색해보니,

 

2022. 11. 24일 특정한 날에 치킨이란 키워드 검색이 유난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날과 비교하였을 때 다른 경향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날이 무슨 날인지 확인해본다면 인과관계를 어느 정도 설명해줄 수 있을 것입니다.

 

다시 검색창에 2022.11.24일을 검색해보니 바로 카타르 월드컵 우루과이와 우리나라의 축구 경기가 있었던 날입니다.

 

축구 경기와 치킨 검색...수많은 경험 데이터를 통해 충분히 납득이 가능 인과관계가 성립되었습니다.

 

실제로 어느 지역에서 어느 프랜차이즈 치킨이 배달되었는지에 대한 통계치는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치킨을 시키기 위해 포털 사이트를 통해 검색을 해보았다는 것만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 시각화를 하는 이유는 정확한 데이터 값을 도출하기 보다는

 

데이터 사이의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

 

다양한 시각화 도구와 파라미터 조정을 통해 의미 있는 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분석]데이터 시각화와 의미  (0) 2023.03.30
[인공지능 인식]How nomal am i?  (2) 2023.03.20
데이터 분석 기획에 대한 이해  (0) 2021.03.27
빅데이터의 이해  (0) 2021.03.07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이해  (0) 2021.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