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성형AI]구글 바드(Bard)

Mi-Flat 2023. 5. 12. 22:52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니멀 헬퍼입니다.

 

오늘은 5월 10일 공개한 구글 Bar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챗GPT를 통해 생성형 AI의 활용 체험은 많이 해보셨을 듯 합니다. 

 

구글 Bard의 경우 2023년 3월 23일 출시 후 미국 권역에서만 활용할 수 있어서

 

한국에서는 활용할 수 없었는데, 2023년 5월 10일 180개국 언어로 공개가 되면서 

 

한국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오픈AI의 챗GPT, 마이크로소프트 빙AI, 구글의 Bard

 

많은 비교와 분석이 이루어질 듯 합니다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생성형 AI의 궁극적인 목적과 활용 이유에 대해서는 공통적인 목적을 가질 거라 생각됩니다.

 

우선 검색창에 한글 또는 영어로 입력합니다.

 

이전에 영문으로 이 나라에서는 활용할 수 없다는 안내 대신 실험 버전이란 이름으로 간단한 설명과 함께

 

사용해보기 메뉴가 보입니다.

 

구글 바드는 입력한 정보와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답변에 활용합니다. 그에 따른 개인 정보 체크를 진행합니다.

 

실험 단계의 기술이므로 신뢰해서는 안된다고 합니다.

 

특히나 기밀 정보나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지 말라고 명시합니다.

 

다시 한 번 부정확하거나 부적절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할 것임을 강조합니다.

 

좌측 메뉴가 있고 아래에 프롬프트 입력창에 내용을 입력합니다.

 

예제 질문을 통해 활용 방법을 이해합니다.

단골 질문인 대통령이 누군지에 대해 질문합니다. 

 

최근 왕위에 오른 영국 국왕 찰스 3세에 대한 질문을 해도, 

 

오픈AI의 챗GPT는 아직도 엘리자베스 2세라고 이야기하곤 합니다.

 

구글 바드는 대답에 대한 즉각적인 평가를 유도합니다. 

 

이것이 어떻게 반영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질문에 대한 학습에 활용될 듯 합니다.

 

요청 사항에 맞춰 답변을 작성해줍니다. 

 

또 하나의 특징은 다른 답안 보기 메뉴를 통해 후보 답안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답안 재생성을 통해

 

마음에 드는 답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답변 내보내기 메뉴는 바드의 답변을 바로 구글 문서로 내보내거나, 지메일로 초안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구글에서 활용가능한 플랫폼을 적극 활용한 모습입니다.

 

더보기 메뉴에서는 내용 복사나 신고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메뉴 중 내 Bard 활동 내용을 보면 자동 삭제 주기를 설정하거나 질문 및 답변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좌측 하단에 테마 사용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구글의 Bard는 공개되기 전에도 많은 사람들이 오픈AI의 챗GPT 때문에 이제 끝났다라는 이야기를 하곤 했습니다.

 

그러나 구글의 트랜스포머 알고리즘이나 LaMDA 등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또한 구글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확장할 수 있는

 

가공력을 무시할 수는 없을 듯합니다. 

 

이제 생성형AI의 대형 메이저 플랫폼은 대중들에게 공개되었고, 힘 겨루기를 시작할 때입니다.

 

누가 승자가 될 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래 영상 참고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ILmwgYlqlPI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