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성형AI]챗GPT 플러그인 기능 추가

Mi-Flat 2023. 5. 23. 17:46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오늘은 2023년 5월 15일 업데이트 된 챗GPT의 플러그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러그인은 

챗GPT 플러그인은 주로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되며, 개발자는 해당 API를 사용하여 기존 소프트웨어나 플랫폼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존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자연어 처리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라고 챗GPT는 자신의 플러그인을 소개합니다. 

스마트폰의 활용성을 높여주는 것이 애플리케이션, 데스크탑의 확장성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되듯이 챗GPT의 활용성과 부족한 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보조바퀴 또는 날개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챗GPT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면 플러그인 업데이트와 함께 UI화면도 변화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 쪽에 GPT3.5와 GPT4 중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위 그림은 챗GPT PLUS 계정으로 업그레이드 해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실히 과금 여부에 따라 사용성을 제한한 듯 합니다.

 

왼쪽 하단에 계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메뉴와 함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설정 아이콘을 클릭해보겠습니다.

 

베타 버전에 대한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는데, 웹 브라우징 기능과 플러그인을 토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기능 모두 선택하고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PT4에서 위에서 설정한 웹 브라우징과 플러그인을 베타 버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기본값으로 답변을 도출하지만, 상황에 따라 웹 브라우징과 플러그인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답변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다음과 같이 일반적인 질문을 했을 때 챗GPT의 아이콘으로 답변하는 것이 아닌 돋보기 모양으로 무엇인가 검색하는 행동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웹 브라우징 기능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탐색하는 것입니다.

 

이전에 챗GPT에게 같은 질문을 했을 때 2021년 이후 데이터 학습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된 답변을 내놓았던 것과 비교해서 정확한 결과를 알려줍니다. 이렇게 되면 마이크로소프트의 빙 챗과의 차이점은 크게 상쇄되는 듯 보입니다.

 

다음은 플러그인을 사용하기 위해 플러그인 스토어에서 필요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사용해보겠습니다.

플러그인 스토어에는 이미 많은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있지만, 대부분 외국 프로그램입니다. 새로운 플러그인 프로그램 탭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모든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있으니, 선택하여 설치해주면 됩니다.

 그 중 많이 사용할 것 같은 플러그인은 'Show Me'라는 프로그램으로 다이어그램을 그려줄 수 있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사용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여러 개의 플러그인을 설치하더라도 실제 챗GPT와의 대화에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정해진 개수를 잘 활용하여 필요한 결과물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웹 브라우징을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플러그인 프로그램 3개를 설정한 뒤에 질문을 하면 챗GPT가 알아서 필요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알맞은 답변을 구성합니다.

 

즉 질문에 대한 답변을 가장 정확하고 다양하게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결과물을 확인해보면

기존 질문에는 텍스트 내용으로만 알려주었다면 'Show Me'라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적절한 다이어그램을 섞어 효과적으로 설명해줍니다.

 

많이 사용하는 플러그인 프로그램 중 'Wolfram'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텍스트 답변을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누적그래프를 그려 데이터 시각화 자료까지 덧붙여 설명을 해줍니다. 그리고 이 내용은 검색 엔진 프로그램인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챗GPT는 자신이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론, 창작, 전달하는 것뿐 아니라 이제 다른 웹 사이트와 프로그램 기능까지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아직 베타 버전으로 완성되지 못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이미 충분히 최초 지적되었던 부분에 대한 커버는 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구글의 바드와 마이크로소프트의 빙과의 경쟁을 통해 어느 플랫폼이 독식을 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는 바입니다.

 

감사합니다.

 

아래 영상 참고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ILmwgYlqlPI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