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 37

[생성형AI]미드저니(Midjourney)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오늘은 생성형 AI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미드저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챗GPT, 마이크로소프트 빙챗, 구글 바드 등 챗봇 형태의 생성형AI는 소개를 드렸고, 챗SONIC이나 DALL-E2, CrAIyon, Playground와 같은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도 설명을 드렸습니다. 오늘은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중 미드 저니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검색창에 미드저니를 검색하여 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다음 'Get Started'를 클릭하면 미드저니 사용 방법에 대한 튜토리얼 매뉴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퀵 스타트 가이드를 클릭합니다. 미드저니의 경우 디스코드 서버로 연결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디스코드 계정을 활용합니다. 메인 화면의 우측 하단..

AI 2023.05.26

[생성형AI]챗GPT 플러그인 기능 추가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오늘은 2023년 5월 15일 업데이트 된 챗GPT의 플러그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러그인은 챗GPT 플러그인은 주로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되며, 개발자는 해당 API를 사용하여 기존 소프트웨어나 플랫폼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존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자연어 처리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라고 챗GPT는 자신의 플러그인을 소개합니다. 스마트폰의 활용성을 높여주는 것이 애플리케이션, 데스크탑의 확장성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되듯이 챗GPT의 활용성과 부족한 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보조바퀴 또는 날개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챗GPT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면 플러그인 업데이트와 함께 UI화면도 변화한 것을 ..

AI 2023.05.23

[생성형AI]구글 바드(Bard)

안녕하세요 미니멀 헬퍼입니다. 오늘은 5월 10일 공개한 구글 Bar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챗GPT를 통해 생성형 AI의 활용 체험은 많이 해보셨을 듯 합니다. 구글 Bard의 경우 2023년 3월 23일 출시 후 미국 권역에서만 활용할 수 있어서 한국에서는 활용할 수 없었는데, 2023년 5월 10일 180개국 언어로 공개가 되면서 한국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오픈AI의 챗GPT, 마이크로소프트 빙AI, 구글의 Bard 많은 비교와 분석이 이루어질 듯 합니다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생성형 AI의 궁극적인 목적과 활용 이유에 대해서는 공통적인 목적을 가질 거라 생각됩니다. 우선 검색창에 한글 또는 영어로 입력합니다. 이전에 영문으로 이 나라에서는 활용할 수 없다는 안내 대신 실험 버전이란..

AI 2023.05.12

[생성형AI]ChatSonic과 Craiyon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오늘은 생성형AI 중 이미지 생성에 대해 더 알아보겠습니다. 챗SONIC은 챗GPT와 마찬가지로 GPT4를 기반으로 이미지와 음성, 콘텐츠 등을 생성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그 중 텍스트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실습을 간단히 보여드리며 설명드리겠습니다. 추가로 Craiyon은 마찬가지로 텍스트를 활용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사이트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챗SONIC을 검색합니다. 베스트 AI Writer라고 소개하는 문구를 통해 무엇인가 창작하여 만들어내는 것에 특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챗GPT가 대표적으로 많은 인지도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이지만, GPT-4를 활용한 알고리즘 프로그램에는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Start Chatting을 클릭하..

AI 2023.05.09

[생성형AI]이미지 생성_DALL-E 2 활용하기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생성형AI 중 이미지 생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PEN AI의 챗GPT가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것처럼 챗봇 형태가 아닌 이미지 생성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으로 DALL-E 가 있습니다. 최근 DALL-E2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이미지 생성 AI에 많은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먼저 검색 창에 DALL-E 2를 검색하면 OPEN AI의 DALL-E 2가 상단에 노출됩니다. TRY DALL-E를 클릭하여 메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이 때 보통 챗GPT를 하기 위해 OPEN AI에 로그인을 한 상태로 이동하면 계정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OPEN AI의 챗GPT와 DALL-E 2는 OPEN AI 계정을 공유합니다. 그래서 바로 메인 화면으로 접속하여 이..

AI 2023.05.05

[생성형AI]이미지 생성 - Playground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요즘 챗GPT에 대한 관심이 상당한데요. 챗GPT 또한 생성형 AI의 한 분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지금 인공지능이 크게 다시 주목받는 것은 그동안 축적한 어마어마한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순히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판단 예측뿐 아니라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그 무엇인가를 직접 생성할 수 있고, 그 퀄리티가 감히 인간을 놀라게 만들 정도라는 것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이제 눈과 귀로 확인할 수 있는 대부분의 콘텐츠는 인공지능이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과연 어느 정도 수준으로 만들어 내고 만든 결과물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Playground.com이라는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설명드릴까 합니다. 예전에 nivid..

AI 2023.04.21

[인공지능 더빙]타입캐스트 활용하기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오늘은 인공지능 기술 중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더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의 클로바 더빙 프로그램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더빙 기술, 목소리 생성을 위해 수많은 샘플을 학습하여 가상의 인공 목소리를 만들어 냅니다. 이전에 지하철 안내원이나 통화 연결 안내원 등의 가상 목소리보다 훨씬 자연스럽고 다양한 언어, 톤, 억양 등을 적용하여 실제 사람처럼 글을 읽어주거나 정보를 전달해줍니다. 윌라나 밀리의 서재에서 오디오북을 들을 때 사람의 목소리만큼 편하거나 감정을 싣기에는 아직 역부족이지만, 텍스트를 눈으로 보는 대신 귀로 들을 수 있는 것만으로 큰 이점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TTS 기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이를 활용한 '타입캐스트' 활..

AI 2023.04.09

[챗GPT]관련 내용 정리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요즘 챗GPT라는 단어와 함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가 다시 한 번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오히려 인공지능에 대해서는 잘 몰라도 챗GPT를 들어보거나 직접 해보신 분들이 있을 정도입니다. 실제로 대형 서점에 가 본 결과 과학 및 컴퓨터 분야 신작 코너에는 거의 3/4이 챗GPT 관련 도서였습니다. 그만큼 챗GPT의 역할과 활용도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리려고 하는 것은 이해가 되나, 지난 22년 12월 챗GPT 공개 이후 23년 3월 14일 GPT-4 공개까지 3개월 사이 너무나도 비슷한 내용의 도서를 자극적인 제목으로 소위 어그로를 끌면서 나오는 것을 보면서 그저 늦기 전에 치고 빠져야 겠다는 생각으로 출판한 책들도 없지 않아 있는 듯 하였습니다. 오늘은 챗GPT 단어의 개념과 ..

AI 2023.04.02

[인공지능 윤리]모럴 머신(Moral Machine)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오늘은 인공지능 윤리에 대해 알아보고 간단한 인공지능의 윤리적 인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 트롤리 딜레마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트롤리 딜레마란 5명을 살리기 위해 1명의 목숨을 희생하는 것에 대해 도덕적으로 허용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딜레마란 선택할 수 있는 두 가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도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인 매우 곤란한 상황을 뜻합니다. 즉 무슨 선택을 해도 해피엔딩은 없다는 것입니다. 피해를 보지만 덜 피해를 볼 것이냐를 따지는 것입니다. 이럴 때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가중치가 달라질 것입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의 경우 사람이 아니라면 가치관에 따라 선택을 할 수 없을텐데 어떻게 윤리적 판단을 할까? 인공지능은 사람의 판단 결과를 학습하고 적용하..

AI 2023.03.27

[인공지능의 발전]챗GPT 활용한 마이크로소프트 빙(Bing) 브라우저

안녕하세요 미니멀헬퍼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챗GPT에 대해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최근 챗GPT에 대해 관심이 뜨거운데, 3월 14일 GPT-4를 출시하면서 작년 12월 공개한 챗GPT에 이어 챗GPT-Plus로 더욱 발전된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챗GPT의 등장으로 많은 주모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이 챗GPT를 활용하여 다시금 일어서려고 하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빙(Bing)'입니다. 많은 분들이 브라우저를 크롬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엣지 브라우저는 특정 용도로만 사용되었는데요. 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와 함께 챗GPT를 기존 빙 브라우저와 결합하여 '새 빙(Bing)'을 출시하였습니다. 엣지 브라우저에서 마이크로소프트 빙이라고 검색하시면 상단 메뉴에..

AI 2023.03.17
반응형